아밥 SQL3 SAP ABAP 기초 4-6) MODIFY 구문 이해하기 (인터널 테이블) 오늘은 인터널 테이블 MODIFY 구문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MODIFY의 사용 목적) MODIFY문은 크게 두 가지의 유형의 테이블에 데이터를 삽입 또는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첫 번째로는 티코드 SE11 즉, ABAP DICTIONARY에 존재하는 Database Table에 값을 삽입 또는 변경할 때. 두 번째로는 소스코드에서 생성한 인터널 테이블의 값을 삽입 또는 변경해 줄 때 사용합니다. (MODIFY의 기능) 키 값으로 테이블 데이터를 확인해서 존재한다면 데이터 값을 수정하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데이터를 삽입해주는 INSERT를 수행하는 효율적인 구문입니다. 그래서 많은 개발자들이 MODIFY구문을 사용합니다. 기존에 데이터가 있다면 수정해주고 없다면 넣어주기 때문에 개발하기.. 2022. 12. 12. SAP ABAP 기초 3-4 ) 쿼리 4 - SQL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SQL을 이해해보는 시간을 잠깐 가지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쿼리(SQL문)이라는 것은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입니다. 단순하지만 이게 목적입니다. 쿼리에서는 실행 순서라는게 존재합니다. (실행 순서) 쿼리에선 SELECT를 먼저 쓰게 되지만 제일 먼저 실행되는 순서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해주셨으면 합니다. 그럼 아래 예시 쿼리를 보고 해석해보는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1. [FROM SFLIGHT] - SFLIGHT에서 모든 컬럼의 데이터를 다 가져온다. ( 제 기준에선 총 357개의 데이터가 존재합니다.) 2. [WHERE CARRID = 'AA] - SFLIGHT에서 CARRID 컬럼 값이 'AA'인 것만 추출한다. ( 제 기준에선 총 27개의 데이터가 존재합니다.) .. 2022. 11. 18. SAP ABAP 기초 3-3 ) 쿼리 3 - WHERE절 2 오늘은 자주쓰는 WHERE 조건절에 대해 한번 더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실습코드) 첫번째, BETWEE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즉, 옆에 설명을 써놓았듯이 'A' BETWEEN 'B'이면 A보다 크거나 같고 'B'보다 작거나 같은 범위를 가져오게 됩니다. 두번째, [WHERE IN]에 대해 확인해보겠습니다. 일단 WHERE + IN 구문을 쓰려면 RANGE 타입의 인터널 테이블에 저장을 해야 합니다. RANGE 타입의 데이터 선언과 로직은 아래와 같이 하시면 됩니다. RANGE 타입의 SIGN, OPTION, LOW, HIGH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에 걸어놨습니다. 보고 오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arartexixi.tistory.com/17 ABAP RANGE 타입.. 2022. 11.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