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AP ABAP 기초부터 시작하기26

SAP ABAP 기초 4-4) MOVE-CORRESPONDING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MOVE-CORRESPOND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OVE-CORRESPONDING은 컬럼명이 같다면 그 필드가 가진 데이터를 그대로 옮겨주는 구문입니다.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구조체 1 값을 구조체 2로 복사를 해보겠습니다. 구조체 1과 구조체 2의 컬럼과 데이터를 한번 확인해보겠습니다. (구조체 1) 구조체 1의 컬럼명은 각각 사번, 사원이름이며 각 컬럼의 데이터는 'S1234', '아밥기초'가 들어있습니다. 사번 사원이름 S1234 아밥기초 (구조체 2) 구조체 2의 컬럼명은 각각 사원번호, 사원이름이며 구조체 1의 값을 MOVE-CORRESPONDING구문으로 받아 올 예정입니다. 사원번호 사원이름 (코딩) MOVE-CORRESPONDING 구조체 1 TO 구조체 2.. 2022. 12. 9.
SAP ABAP 기초 4-3 ) 데이터 가공 3 - FOR ALL ENTRIES IN 안녕하세요 오늘은 FOR ALL ENTRIES I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OR ALL ENTRIES IN의 이해] FOR ALL ENTRIES IN은 조인이랑 같은 개념입니다. 정확하게는 Abap Dictionary(se11)에 존재하는 테이블과 우리가 만든 인터널 테이블을 조인해주는 역할입니다. [FOR ALL ENTRIES IN의 사용이유] SAP ECC 버전에서는 쿼리를 사용하여 인터널 테이블을 조인하는게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인터널 테이블 조인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FOR ALL ENTRIES IN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FOR ALL ENTRIES IN 예제] [FOR ALL ENTRIES IN 로직 설명] 이번 예제는 1. LT_SFLIGHT에 담긴 데이터를 기준으로 2. SPFLI테이블.. 2022. 12. 5.
SAP ABAP 기초 4-2 ) 데이터 가공 2 - READ TABLE에 대한 이해 안녕하세요 오늘은 READ TABLE 구문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READ TABLE은 인터널 테이블에 존재하는 데이터 중 조건에 맞는 1개 ROW를 읽어오기 위한 구문입니다. (테이블 관계) 첫번째로 오늘 READ TABLE 실습에 앞서 2개의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데요 간단히 테이블 관계를 살펴보겠습니다. SFLIGHT 테이블과 SPFLI테이블은 서로 CARRID컬럼과 CONNID컬럼이 공통으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READ TABLE 실습을 할 때도 CARRID컬럼과 CONNID컬럼으로 인터널 테이블을 READ 할 예정입니다. (코드 예제) (로직 해석) 1. 위 로직에서 주석 4-1번 - READ TABLE 구문(하드코딩)을 보겠습니다. [구문해석] 1. LT_SFLIGHT라는 인터널 테.. 2022. 12. 2.
SAP ABAP 기초 4-1 ) 데이터 가공 1 - LOOP에 대한 이해 루프는 인터널 테이블에 존재하는 첫 번째 행의 데이터부터 마지막 행의 데이터까지 읽을 수 있는 구문입니다. LOOP는 사용자에게 보여 줄 데이터를 만들기 위해 써야하는 필수적인 구문이므로 꼭 숙지하여야 합니다. 오늘은 LOOP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간단히 확인해보겠습니다. ( 실습 코드 ) (코드 해석) 1. 먼저 SFLIGHT 테이블을 담아주기 위한 LT_SFLIGHT라는 변수를 선언하였습니다. 2. 쿼리를 통해 LT_SFLIGHT 테이블에 데이터 30개를 담아줬습니다. 3. LT_SFLIGHT 테이블을 LOOP를 돌립니다. 루프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확인해볼까요?? 첫번째로 루프를 돌려보겠습니다. 첫번째로 돌게되면 LT_SFLIGHT의 첫번째 행(ROW)를 그대로 LS_SFLIGHT라는 스트럭처에.. 2022. 11. 30.